파업 대신 준법투쟁 쟁의행위 추진
서울시, 비상수송대책 실행...출근길 주의 당부 [파이낸셜뉴스] 서울 시내버스가 30일부터 '준법투쟁' 단계에 들어섰다. 서울시 '안전운행' 규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이지만 도로 상황에 따라 운행 지연, 배차 간격 확대 등이 예상된다. 노사는 지난 29일 오후 5시부터 8시간이 넘는 협상을 진행했지만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서울시는 30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조정 회의 끝에 서울 시내버스 노사간 임금협상이 최종 결렬됐다고 밝혔다. 노조측은 예고한 바와 같이 우선 파업 전 단계인 '준법투쟁'에 돌입했다. 준법 투쟁은 규정 준수, 안전 운행 등을 이유로 사실상 버스를 지연 운행하는 쟁위행위다.
노조측은 "파업은 일단 유보하고 사측과 서울시에 성실교섭을 촉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노사 양측은 전날 오후 5시부터 서울 영등포구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상생관에서 최종 협상을 시작했다. 조정 기한인 자정을 넘겨서까지 협상이 진행됐지만 결국 임금인상에 대한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노조측은 "노동위원회에서 받을 수 없는 조정안을 제출했고, 자정 가까이가 돼서야 임금을 동결하라는 조정안을 제시했다"며 "노동조합에서는 거부할 수 밖에 없었고, 심지어 사용자조차 동결안을 거부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쟁점이 됐던 통상임금 범위와 관련해 첨예한 대립이 이어지며 즉시 파업까지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우선 준법투쟁 방식의 쟁의행위가 진행되며, 이에 따라 시내버스는 운행될 예정이다.
노조는 사측의 입장이 변하지 않을 경우 추후 파업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박 위원장은 “전국시도대표자회의와 논의해 전국 동시 파업에도 나설 수 있다”고 했다.
서울시는 마련해둔 '비상수송대책' 실행에 나선다. 출근 시간대 지하철 운행 횟수를 47회 늘리고, 지하철역까지 이동할 수 있는 셔틀버스도 125대 투입해 41개 노선을 운행한다. 지하철 등 대체 교통수단의 적극적인 이용도 당부했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파업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으나 여전히 노사 간 갈등이 진행 중"이라며 "향후 파업으로 쟁의행위가 변경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조속한 시일 내에 원만한 노사 합의가 도출되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 시내버스 노조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쟁의행위에 돌입한다. 지난해 3월 임금 인상률 협상에서도 사측과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며 12년만에 11시간 동안의 파업을 진행한 바 있다.
chlee1@fnnews.com 이창훈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