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항 훈련장에서 한미 해군·해병대 장병이 참가한 '23 쌍룡훈련, 결정적 행동' 훈련이 실시된 지난 2023년 3월에 훈련장 주변에서 합동훈련 반대 시위가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
[파이낸셜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전체 주한미군의 16%에 달하는 병력을 괌 등 다른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이전을 검토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관세협상 와중에서 방위비 분담금을 기존보다 10배 이상 인상을 요구하면서 주한미군 감축 카드를 만지작 거려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협상과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인상 협상이 틀어질 경우 주한미군 감축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농후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2일(현지시간) 미 국방부는 주한미군중 4500명을 한국에서 철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국방 당국자들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현재 한국에 주둔한 미군 약 2만8500명 가운데 약 4500명을 미국 영토인 괌을 비롯해 인도태평양 내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런 구상은 대북 정책에 대한 비공식 검토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고려를 위해 준비되고 있다고 당국자들은 WSJ에 전했다.
이 방안은 아직 트럼프 대통령에게까지 보고되지 않았으며 정책 검토를 진행 중인 고위 당국자들이 논의하는 여러 구상 중 하나다.
이같은 국방부의 주한미군 감축은 그동안 인도태평양 지역의 방위 업무를 담당하는 미군 수뇌부와는 사뭇 다른 입장이다.
새뮤얼 퍼파로 인도태평양사령관은 지난달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열린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주한미군이 없어지면 그(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가 침공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우려했다. 퍼파로 사령관은 '주한미군의 중대한 감축이 좋으냐, 나쁘냐'는 질문에 "그것은 분쟁에서 압도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을 감퇴시킨다"라고 사실상 반대 의사를 표시했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사령관도 지난달 9일 미 하원 군사위원회가 개최한 '인도·태평양 미군 태세 및 국가안보 도전' 주제청문회에서 한국의 안보에 대한 미국의 투자가 미국의 이익으로 돌아온다고 주한미군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하원에 제출한 서면 자료에서 "한국은 경제적 측면에서 미국 일자리 45만개와 한국 및 미국에 위치한 2100여개의 미국 회사들을 지원했고 군사적으로는 한국의 기여가 미국의 군사적 지출을 18% 줄여줬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국은 주한미군의 군사적 건설 수요를 위해 매년 5억달러 이상을 제공하며, 미국의 군사적 활동을 지원하는 한국 노동력의 기여는 약 4억1200만달러 규모"라고 언급했다.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