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콜옵션 행사 연기' 롯데손보, 결국 신용도 흔들...등급 전망 '부정적' 하향[fn마켓워치]

파이낸셜뉴스 2025.05.25 20:22 댓글 0

*재판매 및 DB 금지 /사진=뉴시스
*재판매 및 DB 금지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금융감독원으로부터 후순위사채 콜옵션 행사 제동이 걸린 롯데손해보험의 신용도가 흔들리고 있다.

25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한국신용평는 지난 23일 롯데손해보험의 후순위사채, 신종자본증권 신용등급을 각각 A-, BBB+로 유지하면서도 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조정했다.

채영서 한신평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롯데손해보험은 저조한 수익성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또한 자본적정성이 저하된 가운데, 제도강화 등에 대응한 자본비율 관리여력이 제한적"이라며 등급 하향 배경을 설명했다.

실제로 롯데손해보험의 최근 3개년(FY23~FY25년, 1·4분기) 총자산수익률(ROA)은 0.77%로 업계 평균을 하회한다. 올해 1·4분기 보험손익은 -112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말 롯데손보의 K-ICS 지급여력비율은 선택적 경과조치 적용 전 기준 125.8%(경과조치 적용 후 154.6%)로 업계 평균 대비 열위하다. 채영서 연구원은 "지난해 유동성프리미엄 축소 및 장기선도금리 인하로 롯데손보의 지급여력금액이은 감소했다"면서 "이에 경과조치 적용 전 기준 지급여력비율은 전년 말 대비 약 49%p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4년 말 기준 기본자본지급여력비율은 -1.6%로 향후 규제 대응에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면서 "향후 대주주인 사모펀드 JKL의 유상증자 참여를 포함한 자본관리전략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앞서 롯데손해보험은 지난 2020년 5월 발행했던 900억원 규모 후순위사채 콜옵션 행사를 연기했다. 만기일은 오는 2030년 5월 7일이지만 콜옵션이 부여된 만큼, 롯데손보는 계획대로라면 지난 7일 행사해야 했다. 이를 위해 회사는 감독당국에 조기상환을 위해 감독당국에 사전승인을 신청했으나 요건 미충족으로 사전승인을 받지 못했다. 콜옵션을 행사하게 되면 롯데손보의 지급여력비율은 149.5% 수준이 된다. 조기상환을 위해서는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이 150%를 웃돌거나 밑돌경우 각각 차환 발행 또는 증자 등 대체 자금조달 계획을 감독당국에 제출하고 사전승인 및 대체자금조달이 완료된 후 조기상환이 가능하다. 하지만 롯데손보가 콜옵션을 행사하게 되면 지급여력비율 150%를 하회할 것으로 추정되면서 금감원이 이에 제동을 걸었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