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듬지팜 CI |
[파이낸셜뉴스] KB증권은 28일 우듬지팜에 대해 K-스마트팜 영향력 확대에 따른 수혜를 전망했다. 투자의견은 따로 제시하지 않았다.
KB증권 임상국 연구원은 28일 "우듬지팜은 독자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스테비아 토마토 ‘토망고’를 생산해 일반 토마토 대비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라며 "향후 유러피안 채소와 바이오 사업 진출, 스마트팜 시공 및 관련 기술 매출 등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증설을 통해 제2의 성장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임 연구원은 "미래 농업의 핵심은 스마트팜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작물 재배와의 융합"이라면서 "K-작물과 K-스마트팜의 대표 기업인 우듬지팜의 글로벌 진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급격한 농촌 고령화 속에서 높은 생산성과 효율성이 입증된 스마트팜의 국내외 수요가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우듬지팜은 스마트팜 관련 밸류체인(설치, 시공, 재배, 가공, 판매)을 수직 계열화했다. 현재 국내는 물론이고 중동, 동남아시아 등으로 스마트팜 수출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토망고’라는 확실한 캐시카우를 기반으로 작물 다변화 및 이익률 제고에 관심이 쏠린다. 제로 칼로리 시대가 도래하면서 스테비아 토마토 등 스테비아 농산물에 대한 수요 증가도 예상된다.
임 연구원은 "향후 국내 최대 규모의
서산 스마트팜 농업바이오단지 조성이 결정될 경우, 다양한 과채류 재배를 통해 연간 250억원 이상 매출 예상 등 중장기 성장동력이 기대된다"고 전망했다. 그는 또 "스마트팜이 조성될 경우 방울, 완숙 토마토 재배를 시작으로 점차 다양한 과채류로 재배를 확대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