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사진=연합뉴스 |
[파이낸셜뉴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지시에 따라 부하들을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로 출동시킨 것을 후회한다며 향후 재판에서 증인신문은 진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여 전 사령관, 정치인 체포 지시 및 위증 혐의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기소된 여 전 사령관은 8일 서울 용산 중앙지역군사법원에서 열린 공판에서 "12·3 비상계엄 날 군복을 벗겠다는 결단으로 지휘체계를 벗어나야 했다. 깊이 후회한다"며 증인신문을 포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여 전 사령관은 계엄선포 날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에서 정치인 등 주요 인물의 체포를 지시하고 윤 전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탄핵 심판과 군사법원 재판에서 계엄군 투입 사실을 위증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이날 공판에서 "당시로 돌아갈 수 있다면 단호하게 군복을 벗겠다는 결단을 함으로써 그 지휘 체계에서 벗어났어야 했다고 지금에 와서 깊이 후회하고 있다"며 "하지만 계엄 선포를 할지 안 할지도 모르는 가운데 직업 군인으로서 무턱대고 옷을 벗겠다고 하는 것도 당시에는 판단하기 역부족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 돌이켜보면 정말 크게 후회하고 있다"며 "계엄 선포 후 상황에서 저의 판단과 행동이 책임에서 자유롭다고 단 한 번도 생각한 적이 없으며, 저의 행위에 상응하는 온전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금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추가 구속영장 발부..."국민과 재판부 뜻, 겸허히 받아들이겠다"
여 전 사령관은 자신에 대한 추가 구속영장이 발부된 사실을 언급하며 "국민과 재판부 뜻이 무엇인지 새삼 느끼게 됐다. 이 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한편 더 이상의 사실을 둘러싼 증인신문은 무의미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그는 "저는 이 결과를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한편 앞으로의 재판에서 추가적인 증인신문을 포기하고자 한다"면서도 "다만 재판부가 계엄에 사전 동조하거나 준비한 바가 없다는 저의 주장이 사실인지를 현명하게 판단해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방첩사는 계엄 선포를 사전에 전혀 몰랐고, 부대원들은 너무나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김 전 장관의 명령을 전달한 제 지시에 따라 국회와 선관위 출동 후 목적지에 이르지 못하고 복귀했다"며 "국군 통수권자의 갑작스러운 계엄 선포로 수많은 군인의 수십 년 충성과 헌신이 물거품이 된 현실이 너무나 참담하다"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군인으로서 명령에 따랐으되 신중하고 현명하게 행동한 당시 제 부하들, 방첩사 요원들의 선처를 다시 한번 호소하면서 사령관인 저에게 책임이 있다면 모두 물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여인형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