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HMM이 인수한 9000TEU급 메탄올 연료 컨테이너선 'HMM그린호'. HMM 제공 |
[파이낸셜뉴스] 도널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제해사기구(IMO)에 다시 반기를 들었다. 해운 탄소세에 반대 의사를 재차 표명하며 IMO를 지지하면 보복하겠다는 으름장을 내놓은 것이다. 친환경 선박 교체 수요라는 호재를 맞은 국내 조선업계에서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17일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국무부·상무부·에너지부·운수부는 최근 장관 명의의 공동 성명을 통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 부당하게 부담을 주거나 미국 국민 이익을 해치는 어떤 국제 환경 협약도 수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들은 또 "IMO 회원국에 조치 반대에 대한 지지를 구할 것"이라며 "이런 노력이 실패할 경우 시민들을 위한 구제책을 모색하거나 보복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IMO는 오는 10월 '해양 탄소세'로 불리는 선박 온실가스 감축 중기 조치를 승인했다. 5000t 이상 선박이 일정 기준 이상 연료 집약도를 초과하면 t당 100달러(약 13만 9000원)에서 최대 380달러(약 52만7000원)의 벌금을 내야한다. 오는 10월 공식 채택되면 2027년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미국 정부는 지난 4월 이같은 계획이 확정될 당시, 반대 의사를 내고 회의에서 철수한 바 있다. 당시 행정부는 IMO 회원국들에게 "미국이나 자국민 이익에 불공정한 부담을 지우는 국제 환경 협정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며 미국 선박에 세금을 부과할 경우 보복하겠다는 입장을 낸 바 있다.
이에 따라 한미 조선 협력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국내 조선사들을 향해 이목이 집중된다.
국내 조선업계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IMO 계획에 따라 친환경 선박을 발주한 선주사들의 발주에 힘입어 수주고를 쌓아왔다. 해운업계 탄소중립 기조가 후퇴하거나 연기하면 국내 조선업계 역시 로드맵을 수정해야 한다.
반대로는 미국 조선 협력을 위해 트럼프 행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만큼, 미국의 계획을 반대하기도 어렵다.
다만 해운업계에서는 IMO의 넷 제로 프레임워크가 무산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데 무게가 실리고 있다. IMO는 미국에 비해 유럽의 입김이 강한 기구이고, 유럽 국가들 사이에선 탄소 중립이 대세로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