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이 휴전선 인근에서 자위권을 행사하겠다고 23일 밝혔다. 비무장지대(DMZ)에서 작업 중인 북한군들이 일렬로 이동하고 있다. 다수 인원이 지뢰 폭발로 다치거나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
[파이낸셜뉴스]북한이 휴전선 부근에서 공사 중인 북한군을 향해 한국군이 경고사격을 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북한은 한미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이 극히 도발적이라며 자위권 행사로 대응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북한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고정철 육군 중장(별 2개)은 2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발표한 '남부 국경 일대에서 군사적 충돌을 야기시키는 위험한 도발행위를 당장 중지해야 한다' 제목의 담화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고정철은 "8월 19일 한국군 호전광들이 남쪽 국경선 부근에서 차단물 영구화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우리 군인들에게 12.7㎜ 대구경 기관총으로 10여발의 경고사격을 가하는 엄중한 도발 행위를 감행하였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 우리 군대는 정상적인 국경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대한민국과 접한 남부 국경을 영구적으로 봉쇄하기 위한 차단물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군사적으로 예민한 남부 국경 일대의 긴장 격화 요인을 제거하고 안정적 환경을 담보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누구에게도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발적 충돌을 막기 위해 6월 25일과 7월 18일 등 두 차례에 걸쳐 주한미군 측에 공사 관련 내용을 통지했다면서, 그런데도 "공사 인원들을 자극하는 도발행위들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을 뿐 아니라 오히려 더욱 악의적으로 변이되여 폭발적으로 급증하고 있다"고 밝혔다.
고정철은 "확성기 도발 방송이 점차 한국군 3, 6, 15, 28사단 등 여러 부대들에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제는 '사격하겠다'는 위협적 망발이 일상화되고 있는 정도"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미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이 진행되는 와중에 한국이 경고사격을 했다며 "군사적 충돌을 노린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도발행위"라며 "위험천만한 도발행위를 즉시 중지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고정철은 "만일 군사적 성격과 무관한 공사를 구속하거나 방해하는 행위가 지속되는 경우 우리 군대는 이를 의도적인 군사적 도발로 간주하고 상응한 대응 조치를 취하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우리 군은 비무장지대(DMZ)에서 공사 중인 북한 군이 군사분계선(MDL)에 접근하면 경고방송을 하고, MDL을 침범하면 이남 지역을 향해 경고사격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북한은 작년 4월부터 MDL 인근과 DMZ 북측 지역에 다수의 병력을 투입해 삼중 철책을 설치하고 대전차 방벽을 세우는 작업 등을 진행 중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023년 말에 주창한 '적대적 두 국가론'에 따라 군사분계선을 국경선화하려는 의도라는 관측이 나왔다.
아울러 북한군 총참모부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낸 담화에서 한미가 UFS를 "끝끝내 강행해 나섰다"면서 "불의적인 선제타격을 노린 극히 도발적이고 침략적인 대규모 실전연습"이라고 비난했다.
대변인은 UFS가 "우리 핵시설에 대한 '사전원점타격'을 가상한 전쟁각본인 '작전계획 2022'의 적용과 련대급 이상 무력, 기계화 타격 집단들이 공격서렬로 편성, 기동하면서 실사격하는 각종 훈련만으로도 그 엄중성과 위험성을 체감케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영국 해군의 군수지원함 타이드스프링함과 호위함 리치몬드함이 이달 부산항에 입항한 것을 거론하며 "(UFS가) 완전히 다국적합동군사연습으로 변이되었으며, 우리 국가에 대한 군사적 위협은 보다 배가되었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우리 군대는 이미 천명한 대로 우리 국가의 안위에 직접적 위협으로 되는 적대세력들의 군사적 도발에 오직 철저하고 무차별적인 자위권 행사로 대응할 것"이라고 위협했다.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
 |
군 장병들이 철거 DMZ 인근 통문을 개방하고 있다. 뉴스1 |
rainman@fnnews.com 김경수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