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통령 처음으로 일본을 미국보다 먼저 방문
광복절과 맞물린 8월 방일이라는 상징성
취임 80일 만의 조기 방일로 일본 중시 기조 부각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6월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악수하며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도쿄=김경민 특파원】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취임 후 처음으로 일본을 찾는다. 한국 대통령이 미국보다 먼저 일본을 방문하는 것은 국교 정상화 이후 처음이며, 광복절을 떠올리게 하는 8월 시점의 방일도 이례적이다. 6월 취임 뒤 불과 80일 만의 빠른 행보로 일본 중시 기조를 보여주는 행위라는 평가다.
미국보다 먼저 찾은 일본
한국 대통령의 공식 방일은 1984년 전두환 전 대통령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후 10명의 대통령들의 초기 외교 행보를 보면, 이 대통령의 이번 패턴은 전례가 없다.
그는 취임 직후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외국 방문이 없었고, 이번 일본행이 본격적인 양자외교의 시작이다. 이어 미국 방문도 예정돼 있다.
과거 대통령 9명 중 7명은 첫 외국 방문지로 미국을 택했다. 김대중·윤석열 전 대통령은 첫 외교 무대가 유럽 국제회의였지만 이후 모두 방미를 선택했다. 일본을 미국보다 먼저 찾은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전후 직후인 1948년 이승만 대통령이 미국행에 앞서 일본에 잠시 머문 적이 있으나 당시 일본은 점령하에 있었고 국교도 없었다. 목적도 맥아더 연합군사령관 면담이었다.
취임 80일 만의 조기 방일
이번 방문은 속도에서도 눈에 띈다. 역대 대통령 중 이명박 전 대통령의 55일에 이어 두 번째로 빠르다.
대체로 한국 대통령의 방일은 국내 여론을 의식한 역사 문제 부담 탓에 늦춰져 왔다. 일본과 관계 개선을 중시했던 김대중 전 대통령도 22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은 310일이 걸렸다.
이 대통령은 한일관계가 개선 국면에 접어든 상황에서 취임했으며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는 의지가 읽힌다. 지난 6월 G7 회담에서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첫 회담 때도 셔틀외교 재개를 확인한 바 있다.
8월 방일의 상징성
8월 방문도 이례적이다. 1983년 일본 총리의 첫 방한 이후 한일 정상의 상호 방문 시기를 월별로 보면 8월 사례는 한 차례도 없었다.
8월은 한국에서 반일 시위와 민족주의가 고조되기 쉬운 시기다. 특히 15일 광복절이 있어 반일 감정이 집중되는 날이다.
이 대통령은 진보 진영의 지지를 받으며 전통적으로 대일 강경 노선을 걸어왔지만, 이번에는 실용 외교 기조를 앞세웠다. 그는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과거를 직시하면서 미래로 나아가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측도 같은 날 전국전몰자추도식에서 이시바 총리가 13년 만에 "전쟁에 대한 반성"을 언급해 주목을 받았다. 이에 대해 한국 대통령실은 "관심 있게 보고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양국 정상이 발을 맞추려는 태도가 이번 방일 배경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